Eureka Project 2분반 20조
🏆 슬로건
“학점이 아닌 우리 미래를 보자”
이 유레카 프로젝트에서 그저 학점을 따기 위한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하자.
👥 팀원 소개
- 이영웅 (20243096)
- 이준원 (20243102)
- 한유빈 (20243129)
- 이주호 (20243100)
- 이준영 (20243101)
- 정우진 (20243115)
🌐 공통 관심사
- 인공지능
🌟 그 외 관심사
- 장학제도
- 해외연수 제도
- 멘토링 시스템
📋 활동 보고
1. 대학원생 사인 1, 2
-
일시 : 2024.10.08 (화) 오후 4:30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
활동내용
팀의 관심사 중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했는가?
- 인공지능 랩실에 들어가기 위해 수강해야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인공지능 분야로의 진출 대해 학교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혜택, 인공지능 랩실에 들어가기 위한 조건, 학부연구생이를 위해서 어떤 질문을 했는가?
1. 소속된 랩실(인공지능 랩실)에 가려면 소융대 교과목 중 어떤 교과목을 수강해야할까요? 2. 설명해주신 교과목들 중 교과목 사이의 선후관계를 알 수 있을까요? 3. 혹시 교과목만으로 부족하다고 느낄 때 어떤 활동을 해야 좋을지 추천해주실 활동이 있을까요? 4. 인공지능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서 학교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것들이 따로 있을까요? 5. 랩실에 들어가기 위한 조건과 들어가기 위한 과정은 어떻게 될까요? 6. 그렇다면 몇 학년 때 학부연구생을 하면 좋을까요?어떤 답변을 얻었는가?
1. 일단 저희는 인공지능 연구실이니까, 필수적인 교과목을 제외하고, AIX나 데이터과학이 중요해보입니다. 준비해오신 자료에서 정리한 교과목들 모두 인공지능 연구실에 들어오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외에도 인공지능 교과목들이 점점 생길 것 같은데, 그런게 생기면 듣는게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아요. 2. 일단 최신기술들은 그래도 어느 정도 베이스를 알고 들으면 좋아서 준비해오신 자료의 교과목 말고도, 인공지능 학부의 다른 인공지능 과목들을 듣는게 훨씬 좋습니다. 컴퓨터 구조 교과 다음에 운영체제를 듣는게 좋습니다. 자료구조나 알고리즘 같은 경우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베이스가 된 다음에 듣는 게 훨씬 좋습니다. 3. 저희 연구실 자체는 엄청 실력 있는 사람을 뽑는게 아니라 공부하고 싶은 사람들이 와기 떄문에, 공부를 하는 시간이 있습니다. 만약 인공지능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서 스터디가 많이 진행되고 있을 때 스터디를 진행하는게 더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관심 분야 논문, 유명한 거 하나씩이라도 읽어보고 오면 훨신 유리할 것입니다. 4. UROP가 조금 혜택이 될 것 같습니다. 연구를 조금 하신 경력이 있으시거나 아니면 대회가 많이 있으니까 대회를 참여하시는게 학사로서는 가져가기 좋은 경력일거 같습니다. 학교에서 해외 보내주는 프로그램도 좋고, 학부연구생을 하면 그게 가장 좋을것 같습니다. 5. 저희는 잘하거나 기초가 있는 사람만 뽑고자 하는게 아니고, 인공지능을 좀 열심히 연구하고 공부해보고 싶은 분들을 위주로 뽑는 편이라서 일단 가장 먼저 인공지능을 하고 싶다는 마음과 왜 하고 싶은지 같은 생각이 있는 분들을 더 선호합니다. 가장 필요한거는 열정, 의지 같습니다. 학부 연구생 같은 경우는 공부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다 열어놓고 받고 있기도 합니다. 6. 3학년 2학기 정도가 괜찮은 것 같습니다. 방학에 스터디를 하는 편이여서 방학 기준으로 들어오려면 학기 중에 컨택해야해서, 3학년 2학기 쯤 1년 정도만 하는게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2. 보직교수님 사인
-
일시 : 2024.10.10 (목) 오후 5:20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
활동내용
팀의 관심사 중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했는가?
- 경험하면 좋은 비교과 활동, 소프트웨어에서 키울 수 있는 인공지능 관련 능력이를 위해서 어떤 질문을 했는가?
1. 학교에서 제공해주는 비교과 활동 중 소융대 학생이라면 이것만큼은 꼭 경험해보면 좋겠다는 활동이 있을까요? 2. 인공지능 관련 개발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능력 중 소프트웨어학부에서는 어떤 능력을 키울 수 있는지?어떤 답변을 얻었는가?
1. 헤커톤, icpc, 코딩역량인증제도, (여름,겨울)방학에 하는 인턴쉽은 한 번씩 경험해보면 좋겠습니다. 2. 인공지능을 전공해도 코딩능력이 중요하다.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만들겠다 -> 수학이 중요함,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들겠다. -> 응용 프로그램 개발 능력, 서버 처리 능력이 중요함.
3. 학과 서비스 및 서버실 탐방
-
일시 : 2024/10/28(월) 오전 10:27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4. 3,4학년 과목 담당 교수님 사인
-
일시 : 2024.10.30 (수) 오후 1:30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 활동내용
팀의 관심사 중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했는가?
- 교수님이 맡고 계신 자율주행 과목을 듣기 전 수강하면 좋은 과목이를 위해서 어떤 질문을 했는가?
- 3,4학년 과목에서 자율주행 과목을 듣기 전 2학년 때 수강하면 도움이 될 수 있는 과목은 무엇인지?어떤 답변을 얻었는가?
- 자율주행에 인공지능이 필수적이기에 인공지능에 기초인 선형대수학을 듣고와주면 좋고, 컴퓨터 비전을 사용함으로 기초적인 컴퓨터 비전 능력을 지니고 오면 좋겠습니다. 또한 학생들이 강화학습을 어려워하여 때문에 교과목 수강전 강화학습에 대해서 공부해 오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5. 행정실 사인
-
일시 : 2024.10.31 (목) 오후 1:05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 활동내용
팀의 관심사 중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했는가?
- 행정실에서 도움 받을 수 있는 활동, 인턴십, 해외 프로그램이를 위해서 어떤 질문을 했는가?
1. 인턴십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2. 인턴십은 학년제한 없이 갈 수 있나요? 3. 행정실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잘 모르는데, 소식이나 진행중인 프로그램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어떤 답변을 얻었는가?
1. 인턴십 과정은 잡페어에 참여하여 다양한 회사들의 인턴십 프로그램을 알 수 있고 관심있는 회사와 연결하여 방학 중 인턴십 혹은 학기 중 인턴십을 선택하여 체험할 수 있다. 2. 인턴십 체험은 주로 3학년 학생들이 많이 하지만 학년에 제한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3. 주로 행정실 게시판을 통해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도움들을 공지하고 있기에 게시판을 잘 확인해주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장학금 부분에서는 학점 장학금 뿐 아니라 외부 활동을 통해서 상을 받거나 다양한 외부활동이 인정되면 우수 장학금을 받을 수 있기에 관심가져주면 좋겠다.
6. 정통처 탐방
-
일시 : 2024.10.31 (목) 오후 4:40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
활동 내용:
활동내용 요약
정보 통신처 소개: 1. [정보통신처 ↔ 교육 / 연구 현장] 협업 모델 구축, smart data center 구축(대학 최초), On-Offline 무경계 학습 환경 구축 2. 정보서비스 가동율(99.98%), 안전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 ON국민시스템 운영 3. Smart Platform & IT 서비스 infra : K* Cloud Center - 차세대 시스템 인프라 구성, wifi 관리, 공동전산실 관리, 공용소프트웨어 service : 주목할 만한 서비스 - K*Startrack, 경력개발지원단(진로 상담), AIZONE(ms사의 최신 ai교육 강의) 웹메일, Office365, K*CARD, K*Homepage, 콘텐츠 놀이터 security : 정보보호 동향
</details>
7. 교수님 사인
-
일시 : 2024.10.31 (목) 오후 6:00
-
참석인원/팀인원 : 6/6
-
인증샷
-
활동내용
팀의 관심사 중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했는가?
- 선형대수학과 앞으로의 수강하려고하는 과목들과의 연관성, 인공지능에 필요한 역량이를 위해서 어떤 질문을 했는가?
1. 선형대수 과목을 수강한 후 들으면 좋은 과목 혹은 연관성이 깊은 과목들은 무엇인지? 2. 학부생 단계에서 인공지능 쪽으로 가고 싶다면 무엇을 중점으로 공부해야 하는지와 향상시켰으면 하는 역량은 무엇인가요?어떤 답변을 얻었는가?
1. 선형대수학은 it분야의 기본이되는 학문으로 대학에서 배우는 수학과목들 모두 중요하므로 잘 배우면 좋겠다. 학생들이 사람이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해서 먼저 생각했으면 좋을 것 같다. 2. 결국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방식은 인간이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방식과 큰 연관이 있기에 먼저 사람이 어떻게 해야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지를 고민해보고 소프트웨어학부생으로서 좋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할 수 있도록 하면 도움이 될 것 같다.
8. 멘토링 시스템 체험
-
일시 : 2024/11/16 (토) 12:00
-
참석인원/팀인원 : 5/6
-
불참자가 있는 경우 사유 : 병결
-
인증샷
-
활동내용
팀의 관심사 중 어떤 것을 알아보려고 했는가?
- 해외 취직 동향, 휴학 시 공부하면 좋은 것멘토링 일지

💬 소감
-
이영웅: 유레카 프로젝트를 하면서 협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고 목표를 이루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이준원: 유레카 프로젝트를 하면서 학교의 숨은 지원과 활동을 알게 되어 흥미로웠습니다.
-
이주호: 유레카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통해 저의 미래를 구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한유빈: 유레카 프로젝트를 하면서 학교에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어 좋았습니다.
-
이준영: 유레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활동들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고, 여러 교수님께 조언을 받을 수 있어서 저의 미래를 위한 설계를 할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었습니다.
-
정우진: 유레카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 학교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